본문 바로가기
실시간 이슈. 사회

한눈에 보는 2025년 4월 직장보험료 정산, 나는 환급받을까 추가납부일까?

by 럭키주키1216 2025. 4. 26.
반응형

🔖.__이번포스팅____.

 

럭키주키1216입니다.

 

한눈에 보는 2025년 4월 직장보험료 정산, 나는 환급받을까 추가납부일까?

 

안녕하세요, 직장인 여러분! 4월이 되면 많은 직장인들이 궁금해하는

'직장보험료 정산'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.

작년 소득이 확정된 후 이루어지는 이 정산, 과연 나는 돈을 돌려받을지

아니면 추가로 내야 할지 함께 살펴볼까요?

 

직장보험료 정산이란?

직장보험료 정산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를 전년도 소득

기준으로 납부하다가, 실제 소득이 확정된 후 그 차액을 정산하는 제도입니다.

간단히 말해, 작년에 예상보다 돈을 많이 벌었다면 추가로 내고, 적게 벌었다면 돌려받는 시스템이죠.

 

환급받는 경우 vs 추가납부하는 경우 (실제 사례로 알아보기)

 

🔴 추가납부하는 가입자

▶ A회사에 재직 중인 김모씨의 2023년 연봉은 3,600만원이었으나, 2024년 연봉은 400만원 증가한 4,000만원, 141,720원 추가납부(12회 분할 시 11,810원)

① 급여 변동 : 연 3,600만 원(월 300만 원) → 연 4,000만 원(월 333.3만원)

② '24년에 실제 납부한 보험료 (A)
→ 월 106,350원(3,000,000원 × 7.09% × 50%) × 12월 = 1,276,200원

③ '24년에 납부했어야 하는 보험료 (B)
→ 월 118,160원(3,333,333원 × 7.09% × 50%) × 12월 = 1,417,920원

④ 정산금액(B-A) : 141,720원 (가입자부담액 기준)

⑤ 정산금액(141,720원) 12회 분할 적용 시 월 납부 금액
→ 1회~12회(25년4월~25년3월) 11,810원

※ 정산보험료는 12회 월 균등 분할하며, 10원 미만 금액은 분할 첫 회차에 합산함

 

 

🟡 환급받는 가입자

▶ B회사에 재직 중인 최모씨는 2023년 연봉이 5,300만원이었으나, 2024년 연봉은 600만 원 낮은 4,600만원, 보험료 248,160원 일시 환급

① 급여 변동 : 연 5,300만 원(월 441.7만 원) → 연 4,600만 원(월 383.3만원)

② '24년에 실제 납부한 보험료 (A)
→ 월 156,570원(4,416,667원 × 7.09% × 50%) × 12월 = 1,878,840원

③ '24년에 납부했어야 하는 보험료 (B)
→ 월 135,890원(3,833,333원 × 7.09% × 50%) × 12월 = 1,630,680원

④ 정산금액(B-A) : -248,160원 (가입자부담액 기준)

 

 

 

정산액 계산 방법 이해하기

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, 정산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:

  1. 실제 납부한 보험료(A) = 전년도 소득 기준으로 계산한 월 보험료 × 12개월
  2. 납부했어야 하는 보험료(B) = 실제 해당 연도 소득 기준으로 계산한 월 보험료 × 12개월
  3. 정산금액 = B - A
    • 양수(+) 면 추가납부
    • 음수(-) 면 환급

 

 

나는 어떤 경우일까? 자가진단 체크리스트

 

아래 체크리스트로 본인의 상황을 확인해 보세요:

 

      상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추가납부 가능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환급 가능성

연봉 증가 ✔️ 연봉이 전년보다 증가한 경우 ❌ 해당 없음
성과급 상승 ✔️ 성과급이 전년보다 많아진 경우 ❌ 해당 없음
승진/직급 상승 ✔️ 승진이나 직급 상승으로 소득이 증가한 경우 ❌ 해당 없음
부업/추가 소득 ✔️ 부업이나 기타 소득 증가로 보험료 증가한 경우 ❌ 해당 없음
부양가족 수 감소 ✔️ 부양가족이 줄어들면 공제금액이 줄어들어 추가납부 가능성 있음 ❌ 해당 없음
연봉 감소 ❌ 해당 없음 ✔️ 연봉이 감소한 경우
휴직/육아휴직 ❌ 해당 없음 ✔️ 휴직이나 육아휴직이 있었을 경우
소득 감소/퇴사 ❌ 해당 없음 ✔️ 중간에 퇴사하여 소득이 줄어든 경우
의료비 증가 ❌ 해당 없음 ✔️ 의료비 지출이 커졌을 경우
교육비/기부금 증가 ❌ 해당 없음 ✔️ 교육비나 기부금이 증가한 경우
부양가족 수 증가 ❌ 해당 없음 ✔️ 부양가족이 늘어난 경우

 

 

정산액 계산해 보기 (실습)

자신의 상황에 맞게 계산해보세요:

① 2023년 월 평균 급여: (                )원
② 2024년 월 평균 급여: (                )원

③ 2024년 실제 납부한 월 보험료: (                )원
   - 계산: 2023년 월 평균 급여 × 7.09% × 50%

④ 2024년 납부했어야 할 월 보험료: (                )원
   - 계산: 2024년 월 평균 급여 × 7.09% × 50%

⑤ 정산금액: [(④의 금액 × 12) - (③의 금액 × 12)]

결과가 양수면 추가납부, 음수면 환급입니다!

 

 

정산액 최소화 방법 (합법적으로!)

추가납부를 줄이거나 환급액을 늘리는 방법을 알아봅시다:

 

1. 소득공제 항목 꼼꼼히 챙기기

  • 의료비 공제: 가족 의료비를 모두 포함해 신청하세요
  • 교육비 공제: 본인과 자녀 교육비 모두 챙기기
  • 기부금 공제: 작은 기부도 모아두면 공제 가능
  • 신용카드 사용액: 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기

2.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활용하기

  • 퇴직 후에도 국민연금을 계속 납부할 경우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
3. 연말정산 시 누락된 공제 항목 확인하기

  • 종합소득세 신고 시 놓친 항목이 있다면 추가로 신청하세요
  • 5년 이내 누락된 공제는 환급 가능

4. 연금저축계좌 및 IRP 활용하기

  •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면서 노후 대비까지 가능
  • 연말에 여유자금이 있다면 납입액을 최대한 채우는 것이 유리

5. 배우자나 부양가족과의 소득 분산 전략

  • 가족 간 적절한 소득 분산으로 전체 세금 부담 줄이기
  • 부양가족 등록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여 혜택 받기

 

마무리

이제 김 모 씨와 최 모 씨의 사례를 통해 직장보험료 정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되셨나요?

단순히 '연봉이 올랐으면 더 내고, 줄었으면 돌려받는다'는 기본 원리를 실제 숫자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
4월 보험료 정산은 어떻게 보면 '세금의 심판대'와 같습니다.

하지만 미리 준비하고 자신의 상황을 파악한다면, 추가납부의 충격을 줄이거나 환급의 기쁨을 키울 수 있습니다.

정확한 정산액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, 꼭 체크해 보세요!

또한, 정산액이 많이 나왔다면 분할납부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
 

여러분의 4월 정산이 환급으로 가득하길 바랍니다! 

 

건강하세요💚

반응형